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

인생을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잠재의식은 유머 감각이 없고 농담도 하지 않으며, 현실과 상상 혹은 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 우리가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은 결국 우리 삶에 나타날 것이다.- 시드니 매드웨드- 기억하라. 행복은 당신이 누구인지, 또는 무엇을 가졌는지에 달려 있지 않다. 그것은 전적으로 생각에 달렸다.- 데일 카네기 - 인생은 부메랑 게임과 같다. 우리의 생각, 행동, 말은 결국 놀랍도록 정확하게 우리에게 돌아온다.- 플로렌스 스코벨 신 -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이 주위 세상을 긍정적으로 만들며, 자신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온다.- 노먼 빈센트 필 - 어디를 가든 무엇을 하든, 당신의 머리가 한정하는 범위 내에서 평생을 살아간다.- 테리 조지프슨 - 우리가 먹는 것이 아닌, 우리가 생각하는 것.. 2024. 11. 19.
성공을 위한 환경 설정 가장 강한 종이 살아남는 것도, 가장 지능이 높은 종이 살아남는 것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종이 살아남는다. - 찰스다윈-   우리는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으로 만들어줄 환경을 의도적으로 조성하고 통제해야 한다. 우리는 자신이 선택한 환경에 맞춰 적응하고 진화한다. 당신은 환경 때문에 지금의 당신이 되었다.   변화를 원하는가? 그렇다면 환경을 바꿔라. 의지력에 매달리는 어리석은 짓은 이제 그만두자. 수많은 자기계발서에서 주장하는 자신을 먼저 바꾸라고 하는 것과는 상반되는 이야기다. 환경을 바꾼다는 것은 당신의 성공을 불가피하게 만드는 조건들을 조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에 집중하고 싶다면 물리적 작업공간은 물론이고 디지.. 2024. 11. 18.
포기하지 않는 것이 나의 인생이다. 조선 중기 시인이자 문장가 김득신(1604~1684)을 보면 머리 나빠 공부 못한다고 좌절할 일이 절대 아니다. 누구나 꾸준히 노력하면 언젠가 목표를 이룰 수 있음을 온몸으로 보여준 사람이다. 대기만성의 전형이다.    그는 소문난 학습 지진아였지만 끈질기게 공부한 결과 38세에 진사시험에 합격하고, 58세에 과거시험 문과에 급제했다. 지금으로 따지면 50세 무렵에 9급 공무원이 되고, 70세에 고등고시에 합격하는 저력을 보여준 셈이다.   김득신은 어릴적 천연두를 심하게 앓아 뇌가 손상되었는지 학습성취도가 지나치게 낮았다. 금방 배운 것도 돌아서면 잊어버렸다. 열 살이 넘어서야 떠듬떠듬 책을 읽을 수 있었고, 스무 살 무렵에야 겨우 글을 지을 수 있었다.    그의 건망증에 대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 2024. 11. 15.
인생의 전환점(轉換點) 당신은 지금까지 어떤 생각을 하며 지금까지 살아왔는가? 성공한 사람은 주변에 수없이 많다. 연봉이 수백 억에 이르는 스포츠 스타, 15초짜리 광고에 출연하는 대가로 몇 억씩 받는 탤런트, 집에는 현금이 쌓여 있고 주차장에는 외제 승용차를 몇 대씩 세워놓은 유명 래퍼, 회사가 코스닥에 상장되면서 하루아침에 재벌이 된 젊은 벤처사업가 등은 선망의 대상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위와 같은 사람들의 성공스토리를 듣는 순간, 성공하고 싶다는 생각을 잠깐 했을지도 모른다. 그러고는 이내 일상 속으로 돌아갔을 것이다. 많은 이가 평생을 그렇게 살다가 죽는다. 부러움과 자조 섞인 한숨을 내쉬는 사이, 수많은 기회는 모래알처럼 당신의 손아귀를 소리 없이 빠져나간다.   그러나 극소수는 부러움과 자조 섞인 한숨 대신,.. 2024. 11. 14.
끊임없이 도전하라! 두렵다면 도전하라. 나는 인생의 크고 작은 일들에서 이 규칙을 따랐고 효과가 꽤 좋았다. 작은 차원에서 보자면 말 걸기가 떨리고 겁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자신의 두려움을 스스로 알아차리는 순간이다. 바로 이거다! 두렵다면 도전해야 한다. 가서 꼭 말을 걸어보라. 큰 차원에서는 이런 일이 해당할 것이다. 자꾸만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거대한 아이디어. 사업을 시작하거나 해외여행을 가거나 직장을 그만두는 것 같은 일들. 이런 아이디어나 계획은 종종 우리에게 두려움을 주지만, 그 두려움이야말로 우리에게 도전해보라고 말해주는 신호다. 두려움은 흥분감의 한 형태일 뿐이다. 흥분감을 주는 일이라면 반드시 도전해야 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을 하라고 권하는 신호이며, 그 도전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경험을.. 2024. 11. 13.
군더더기 없는 나의 삶을 위하여! 부사나 형용사를 남발하게 되면 문장이 생명력을 잃는다. 유명작가들의 글쓰기에 대한 조언에 등장하는 공통적인 가르침이다. 스티븐 킹의 조언은 그중에서도 단호하다. "The road to hell is paved with adverbs." (지옥으로 가는 길은 부사로 포장되어 있다.) 부사를 남발하는 심리적 이유에 대하여 작가들은 한결같이 자신감의 부족을 지적한다. 불안하면 사람들은 수식어를 많이 쓴다. 생명력이 넘치는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부사를 줄이고 자신의 의사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전달해야 한다. 생명력이 넘치는 삶을 위해서도 마찬가지다. 인생의 부사를 줄여야 한다. 불안하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주렁주렁 매달아놓은 액세서리들을 줄여야 한다. 매일 아침 거울 앞에 서서 내 삶에서 줄여야 할 인생.. 2024. 11. 12.
반응형